한림원출판사 홈페이지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Home
>
사회과학
내마음의 비밀
■
판매가격 :
15,000 원
■
구매문의 : MS북스 (TEL. 02-707-2343)
책소개
작가소개
목차
내 마음의 비밀 (진화 심리로 보는)
신충우| 한림원(김용우)| 2008.02.25 | 560p | ISBN : 9788957081440
책 소개
은밀한 남녀(♀♂)의 성기는 외내견상으로 보면 그 깊이나 길이가 고작 30㎝안팎이다. 그러나 세상의 오묘한 진리가 그 곳에 있고, 그 곳에서 나온다. 인류가 존재하는 한, 영원히 도전하고 생각보아야 할 연구 과제이다. 그 속에 우리의 인생과 마음이 있기 때문이다.
저자가 이 책을 통해 들여다 보고자 한 것은 우리 모두가 말하기 쑥스러워하는 ‘섹스’이다. 전편 (존재냐? 가치냐!)『인간이란 무엇인가』(한림원)에서는 인간들이 기피하는 ‘죽음’을 통해 인간의 삶의 가치를 살펴보았다. 하편에서는 마음의 원천인 섹스를 통해 인간의 존재를 탐구해 보고자 했다. 섹스와 죽음을 떠나 인간을 말할 수 없다.
진화심리학적으로 우리 인간의 마음은 생존과 번식에 의해 좌우되는데 전자보다는 후자에 초점을 두고 마음의 근원을 찾고자 했다. 섹스가 있기에 인간은 사멸하지 않고 존재한다. 즉, 섹스는 번식으로 이어지고 번식은 또 대를 이어 생명을 이어가게 한다. 우리의 마음에는 번식에 의한 무의식적인 마음과 생존에 의한 의식적인 마음이 공존한다. 컴퓨터의 OS(운영체제)와 같은, 유전자에 의한 우리가 알지 못하는 무의식적인 마음이 우리의 뇌 속에 존재하지 않는다면 우리는 어떠한 마음도 갖지 못할 것이다. 마음이 없는 인간은 인조 인간, 로봇이다. 식물인간에게도 마음은 존재한다.
의식, 무의식, 잠재의식적인 그 마음은 바로 우리의 뇌 속에 있다. 그에 대해 말하고자 하는 것이 이 책, (진화 심리로 보는)『내 마음의 비밀』이다.
저자 | 신충우
1952년 충북 청원에서 출생한 저자는 현재 신아일보 편집부국장으로 근무하고 있다.
저서로는 <정보통신><컴퓨터현장 25시><컴퓨터산업계를 움직이는 사람들><컴퓨터상품학>등이 있다.
<화보> (사진으로 보는 마음의 유래)
<서문>
마음의 세계로 탐구여행을 떠나면서
제1장 동물과 인간은 어떻게 다른가
1, 동물의 세계
2, 인간과 마음
3, 정신과 육체
4, 인간의 본성
5, 본능과 욕망
6, 관계와 공감
7, 나는 누구인가
제2장 부정적인 감정은 왜 생기나
1, 부정심리
2, 방어기제
3, 분노와 증오
4, 오만과 편견
5, 질투와 외도
6, 상실과 좌절
7, 불안과 공포
8, 조울과 우울
제3장 소유 · 존재와 내 마음
1, 마음과, 소유와 존재
2, 사회 속의 나
3, 생활 속의 나
4, 연애와 나
5, 결혼과 나
6, 형제 속의 나
7, 습관 속의 나
8, 인체와 나
제4장 내 마음의 열쇠…진화심리
1, 심신과 심리학
1) 신비한 인체
2) 마음과 심리학
3) 심리학 연혁
2, 진화심리의 양날개
1) 진화생물
(1)『종의 기원』과 갈라파고스
(2) 진화의 유래
(3) 진화와 진보
(4) 찰스 다윈과 진화생물학
(5) 진화론과 유전자
(6) 주요 진화생물학자
2) 인지심리
(1) 마음과 인지
(2) 인지과학과 짝짓기
3, 주목받는 진화심리
1) 진화심리란
2) 진화심리의 핵심
3) 주요 진화심리학자
제5장 내 마음의 OS…유전정보
1, 인류의 진화
1) 생명이란
2) 인류의 진화
3) 인간의 본성
2, 진화와 생식…마음의 기원
1) 남녀의 성기
2) 남녀의 성(性)
(1) 신성시해 온 남근
(2) 금기시해 온 옥문
(3) 왜곡된 성문화
(4) 섹스에 대한 열광
3) 생존이냐? 번식이냐!
(1) 마음은 번식의 산물인가
(2) 마음은 생존의 산물인가
(3) 반론
4) 서로 다른 남녀의 마음
5) 암수가 바뀐다면
3, 마음이란 무엇인가
1) 뇌는 마음의 생산 공장
2) 마음과 마음의 벽
3) 마음은 정보처리 시스템
제6장 사색과 명상
1, 천명(天命)
2, 운명(運命)
3, 한국인의 화
4, 한국인의 솔
5, 무념무상(無念無想)
6, 허허실실(虛虛實實)
7, 대도무문(大道無門)
8, 한사상 -Ⅰ(자연)
9, 한사상 -Ⅱ(자아)
10, 한사상 -Ⅲ(생사)
부록
Ⅰ, 심리 테스트 색인
Ⅱ, 생물·심리학자 등 인물 색인
Ⅲ, 참고 및 인용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