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림원출판사 홈페이지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Home
>
사회과학
(존재냐? 가치냐!)인간이란 무엇인가
■
판매가격 :
15,000 원
■
구매문의 : MS북스 (TEL. 02-707-2343)
책소개
작가소개
목차
인간이란 무엇인가
신충우| 한림원(김용우)| 2007.02.21 | 551p | ISBN : 9788957081303
책 소개
죽음은 벽(壁)인가, 문(門)인가? 우리는 죽어서 무엇으로 살 것인가? 이 철학적인 질문에 대해 독자 스스로 사색하며 해답을 모색해 보는 죽음과의 사색서다. 종교, 철학, 문학, 역사, 과학 등 여러 방면에 걸쳐 그 공간을 제공한다. 신국판 551쪽, 4장으로 구성한 이 책은 1장과 2장에서 인간의 영원한 숙제인 ‘인간은 어디서 왔다 어디로 가는가’를 짚어 보고 3장에서 이 책의 주제인 ‘인간의 존재와 삶의 가치’를 모색한 다음, 4장에서 최근에 주목을 받고 있는 ‘인간다운 죽음’을 다뤘다. 인간은 빈손으로 왔다가 빈손으로 가는 것 같지만 결코 빈손으로 가는 것이 아니라삶의 가치만큼 남기고 간다. 그 사실을 현실과 대비하며 확인해 보기 바란다. 20,30대의 젊은 층에게는 가치 있는 미래를 준비하는데, 50대 이상의 장년과 노년층에게는 과거를 반추(反芻)하며 행복한 여생을 마무리하는데 도움이 되리라고 생각한다.
저자 | 신충우
1952년 충북 청원에서 태어나 연세대학교 경영학과와 숭실대학원 전산공학과를 졸업했다. 전자신문 정보산업부 차장, 한국정보통신기자협회 초대회장, 국민일보 경제과학부장 등을 거쳐, 2006년 현재 u-Corea포럼 회장, 민족사관(신채호)연구소장, 한국바이오산업연구소장으로 일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 <황소같이 일만하면 망한다>, <바람 든 한국사회>, <바이오혁명 그 현장> 등이 있다.
서문
죽음을 통해 인간(人間)의 정체성(正體性)을 조명하면서
01. 하늘의 소리
02. 인간은 어디서 왔나
03. 한민족은 인류시원인가
04. 인간은 왜 영생하지 못하나
05. 식물인간과 냉동인간
06. 죽음을 고뇌하는 인간
07. 죽었다는 판단은 어떻게 하나
08. 한민족의 현세적인 세계관
09. 종교가 보는 생사(生死)
10. 죽음은 삶의 철학
11. 문학 속에 투영된 죽음
제2장 인간은 어디로 가나
01. 윤회인가 부활인가
02. 귀의현상
03. 정신과 영혼은 어떻게 다른가
04. 속사람과 유체이탈
05. 생거진천 사거용인
06. 천국과 극락
07. 영혼 불멸설
08. 죽음에 대한 상반된 인식
09. 임사(근사)체험
10. 사후세계는 존재하는가?
제3장 인간의 존재와 삶의 가치
01. 죽음은 삶의 동반자
02. 인간이란 무엇인가
03. 인간 속의 인간
04. 자연과 인간
05. 존재냐? 가치냐!
06. 우리는 죽어서 무엇으로 살 것인가
1) 소유냐? 가치냐!
2) 사후에도 존재하는 삶의 가치
[예제-1] 국민화가 이중섭과 반 고흐
[예제-2] 시대의 불꽃 김주열과 이한열
[예제-3] 순국자 민영환과 강재구
[예제-4] 순교자 김대건과 이차돈
[예제-5] 상반된 정치이념의 정몽주와 이방원
[예제-6] 권력과 부의 정점 박정희와 이병철
[예제-7] 상반된 역사시각의 신채호와 김부식
06. 한국의 불사조
[실증-1] 군인묘지
(1) 국립현충원
(2) 유엔기념공원
[실증-2] 민주인사묘지
(1) 국립4?19민주묘지
(2) 국립3?15민주묘지
(3) 국립5?18민주묘지
[실증-3] 한국 기독교 성지
(1) 절두산 천주교 성지
(2) 양화진 개신교 성지
[실증-4] 망우리 공동묘지
08. 물질인가 정신인가
09. 존재의 사멸과 가치 부여
제4장 인간다운 삶의 최후
01. 한국인의 사망원인
02. 재인식 필요한 자살과 안락사
03. 논란의 사형제도
04. 자연사는 모두의 희망
05. 고결한 죽음- 안중근과 이수현
06. 죽음은 어떤 단계를 거치나
07. 죽음 직전에 해야 할 일들
08. 죽음의 고통을 잊으려면
09. 하늘로의 여행은 어떻게 맞아야 하나
10. 웰다잉과 이별 준비교실
11. 한국인의 최후 안식처
부록
참고·인용 자료와 문헌
서문
죽음을 통해 인간(人間)의 정체성(正體性)을 조명하면서
01. 하늘의 소리
02. 인간은 어디서 왔나
03. 한민족은 인류시원인가
04. 인간은 왜 영생하지 못하나
05. 식물인간과 냉동인간
06. 죽음을 고뇌하는 인간
07. 죽었다는 판단은 어떻게 하나
08. 한민족의 현세적인 세계관
09. 종교가 보는 생사(生死)
10. 죽음은 삶의 철학
11. 문학 속에 투영된 죽음
제2장 인간은 어디로 가나
01. 윤회인가 부활인가
02. 귀의현상
03. 정신과 영혼은 어떻게 다른가
04. 속사람과 유체이탈
05. 생거진천 사거용인
06. 천국과 극락
07. 영혼 불멸설
08. 죽음에 대한 상반된 인식
09. 임사(근사)체험
10. 사후세계는 존재하는가?
제3장 인간의 존재와 삶의 가치
01. 죽음은 삶의 동반자
02. 인간이란 무엇인가
03. 인간 속의 인간
04. 자연과 인간
05. 존재냐? 가치냐!
06. 우리는 죽어서 무엇으로 살 것인가
1) 소유냐? 가치냐!
2) 사후에도 존재하는 삶의 가치
[예제-1] 국민화가 이중섭과 반 고흐
[예제-2] 시대의 불꽃 김주열과 이한열
[예제-3] 순국자 민영환과 강재구
[예제-4] 순교자 김대건과 이차돈
[예제-5] 상반된 정치이념의 정몽주와 이방원
[예제-6] 권력과 부의 정점 박정희와 이병철
[예제-7] 상반된 역사시각의 신채호와 김부식
06. 한국의 불사조
[실증-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