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림원출판사 홈페이지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Home
>
기술과학
>
식품
생체기능 조절물질 연구법
■
판매가격 :
7,000 원
■
구매문의 : MS북스 (TEL. 02-707-2343)
책소개
작가소개
목차
식품중의 생체기능조절물질연구법 (생물화학실험법)
카와키시 순로| 기능성식품소재연구회 역| 한림원| 1997.05.01 | 198p | ISBN : 8985670247
작가소개
번역 출판에 즈음하여 = ⅰ
(생물화학실험법) 시리즈 기획의 취지 = ⅲ
머리말 = ⅳ
Ⅰ. 식품중 생체기능 조절물질 개요 = 1
Ⅰ-1 식품의 3차기능 = 1
Ⅰ-2 식품중의 생체기능 조절물질 = 3
문헌 = 6
Ⅱ. 생체방어물질 = 7
Ⅱ-1 항산화물질 = 7
(ⅰ) 서론 = 7
(ⅱ) 참깨탈지박으로부터의 리그난 배당체의 단리, 정제 = 9
a) 피노레지놀 배당체의 단리, 정제 = 10
b) 피노레지놀 배당체의 구조해석 = 11
(ⅲ) 항산화 활성의 평가계 - 과산화지질의 검출법 = 14
a) 로단철법 = 14
b) TBA법 = 15
c) 우레아법 = 16
(ⅳ) 시험관모델계의 항산화시험법 = 17
(ⅴ) In vitro계에서의 항산화시험법 = 18
a) 적혈구막 ghost 계를 이용한 항산화 시험 = 18
b) 흰쥐간 microsome을 이용한 항산화 시험 = 19
c) In vitro계에서 피노레지놀 배당체의 항산화 활성 = 20
(ⅵ) 항산화 물질의 다양한 생리활성 = 21
Ⅱ-2 항발암 initiator = 22
(ⅰ) 항발암 initiator로서의 항변이원 물질 = 22
(ⅱ) 항변이원 활성 측정을 위한 재료 = 23
a) 균주 = 23
b) 변이원 = 23
c) 돌연변이 검출용배지 = 25
(ⅲ) Bio - antimutagen = 25
a) 표준 실험방법 = 27
b) Bio - antimutagen의 검색예 = 28
c) Bio - antimutagen의 작용기구의 해석법 = 30
(ⅳ) Desmutagen = 34
a) 표준 실험방법 = 34
b) Desmutagen의 검색예 = 35
(ⅴ) 항변이원의 평가 = 38
Ⅱ-3 항발암 promotor = 39
(ⅰ) 서론 = 39
(ⅱ) EBV 활성화 시험 = 41
(ⅲ) EBV 활성화억제물질의정제, 단리, 구조결정 = 43
(ⅳ) ACA의 EBV 활성화 억제 작용 = 47
(ⅴ) ACA의 생쥐 피부 발암 promotion 억제 시험 = 48
(ⅵ) 기타 식용 식물 유래의 항발암 promotor = 50
Ⅱ-4 항균성, 항충치성 물질 = 51
(ⅰ) 항균 활성 물질의 검색법 = 51
a) 확산법 = 51
b) 한천희석법 = 53
c) 비탁법 = 57
d) Bio - autography = 57
(ⅱ) 충치예방의 기본적 전략 = 58
a) Mutans균을 이용한 비탁도 측정법 = 59
b) Mutans균을 이용한 한천 희석법 = 60
c) Anti - plaque 효과의 측정 = 62
d) 유산생성의 저해활성 = 64
e) 실험동물에 대한 충치유발의 억제효과 = 65
f) 그외의 항충치 관련 연구 = 65
Ⅱ-5 살선충(기생충) 활성 물질 = 66
(ⅰ) 서론 = 66
(ⅱ) 개회충 제2기 유충의 채집, 배양법 = 66
a) 개회충 충란의 준비 = 67
b) 개회충 유충 포장란의 단백막 제거조작법 = 68
c) 개회충 유충의 in vitro 사양 = 69
d) 전반적인 주의 = 70
(ⅲ) 살선충활성의 측정 = 71
a) 운동성을 지표로 하는 방법(RM법) = 71
b) 색소염색을 이용한 방법(DE법) = 73
c) RM법과 DE법의 관계 = 74
(ⅳ) 충체파열작용(Burst) = 74
a) Tannin에 의한 burst = 75
b) 정유에 의한 burst와 그 증강물질 = 77
c) 배양주령에 의한 유충의 감수성변화 = 79
(ⅴ) 살선성 활성물질의 분리예 = 80
문헌 = 83
Ⅲ. 생리기능 조절물질 = 87
Ⅲ-1 Arachidonic acid 대사 저해물질 = 87
(ⅰ) Arachidonic acid 산화효소 저해와 그 생리학적 의의 = 87
(ⅱ) 사람 혈소판 응집 저해활성의 측정법 = 89
a) 측정 원리 = 89
b) 채혈, 다혈소판 혈장의조제 및 응집측정법 = 90
c) 혈소판응집의 유기제에 대하여 = 92
d) 저해활성의 평가법 = 94
(ⅲ) 양파(Allium cepa L.)중의 혈소판응집 저해물질 = 94
(ⅳ) Arachidonic acid 산화 효소저해활성의 측정법 = 96
a) Cyclooxygenase 저해활성 측정법 = 96
b) 5-Lipoxygenase 저해활성 측정법 = 100
(ⅴ) AC series의 arachidonic acid 산화효소의 저해활성 = 101
a) Cyclooxygenase 저해활성 = 101
b) 사람 5-lipoxygenase 저해활성 = 102
Ⅲ-2 Opioid peptide = 104
(ⅰ) Opioid peptide란? = 104
(ⅱ) Receptor assay = 106
a) Opioid receptor의 다양성 = 106
b) 원리와 방법 = 106
(ⅲ) 적출기관표본에 의한 assay = 109
a) Gunia pig 회장종주근신경총 = 109
b) 생쥐 수정관 = 114
c) 토끼 수정관 = 115
(ⅳ) 세포내 정보전달에 기초한 assay = 116
(ⅴ) 진통 시험 = 116
(ⅵ) Opioid peptide 정제의 실제 = 116
a) 조시료 opioid 활성 = 116
b) HPLC에 의한 정제 = 116
c) 밀의 gluten으로부터 gluten exorphin류의 정제 = 117
d) 식품 단백질에서 파생하는 그외의 opioid peptide = 121
Ⅲ-3 Angiotensin 변환 효소 저해 물질 = 121
(ⅰ) 서론 = 121
(ⅱ) ACE 저해물질의 생리활성 측정법 = 124
a) ACE 저해활성 측정법 = 124
b) 혈압강하작용 측정법 = 126
c) 그외의 생리활성 측정법 = 128
(ⅲ) ACE 저해물질의 분리정제 구조해석법 = 129
a) 식품에서의 ACE 저해물질 조제 = 129
b) ACE 저해물질의 정제법 = 130
c) Peptide의 구조해석법 = 130
(ⅳ) ACE 저해물질의 정제구조결정의 구체 예 = 132
Ⅲ-4 체열 생산 항진인자 = 135
(ⅰ) 서론 = 135
(ⅱ) 에너지 대사, 체열생산의 개념 및 생리적 의의 = 135
(ⅲ) 체열 생산의 측정법 = 138
a) 직접 체열 생산 측정법 = 138
b) 간접 체열 생산 측정법(1) - 비침습적 측정 = 139
c) 간접 체열 생산 측정법(2) - 침습적 측정 = 144
문헌 = 152
Ⅳ. 유용세포 증식성 인자 = 157
Ⅳ-1 비피더스 인자 = 157
(ⅰ) 서론 = 157
(ⅱ) 비피더스 인자의 검색방법 = 158
a) 비(난)소화성 검사 = 158
b) 올리고당의 Bifidobacterium에 대한 자화의 검토 = 160
(ⅲ) Bifidobacterium의 glucosidase를 이용한 올리고당의 효소 합성 = 167
a) Bifidobacterium의 glucosidase의 분포 = 167
b) B. breve 203의 β-D-glucosidase와 cellobiose 및 gentiobiose의 자화 = 169
c) β- D - Fucosylglucose의 효소 합성과 Bifidobacterium에 의한 자화 = 170
Ⅳ-2 신경성장인자 합성촉진 물질 = 172
(ⅰ) 신경성장인자 합성촉진 물질연구의 의의 = 172
(ⅱ) Assay 방법 = 173
(ⅲ) 지금까지 밝혀진 활성저분자화합물 = 174
a) 카테콜 화합물 = 174
b) 노루궁뎅이버섯 자실체로부터의 hericenone류 = 175
c) 노루궁뎅이버섯 균사체로부터의 erinacine류 = 177
d) 그밖의 화합물 = 177
(ⅳ) 실험예 = 179
a) In vitro 검정(assay) = 179
b) NGF의 효소면역 측정방법 = 181
c) In vitro실험(시료첨가에 의한 각 장기의 NGF양의 변화측정) = 182
d) 노루궁뎅이버섯 자실체로부터의 hericenone류의 단리 = 183
e) 노루궁뎅이버섯 균사체로부터의 erinacine류의 단리와 구조결정 = 185
문헌 = 189
색인 = 1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