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림원출판사 홈페이지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Home
>
기술과학
>
기술
섬유기초 기술
■
판매가격 :
25,000 원
■
구매문의 : MS북스 (TEL. 02-707-2343)
책소개
작가소개
목차
섬유기초기술
지은이 : 김병철 외 9명
발행인 : 이춘식
펴낸곳 : 한국섬유개발연구원
초 판1쇄 발행 2009년 12월 31일
주 소 : 대구광역시 서구 국채보상로 1337 (중리동 1083) 한국섬유개발연구원
전 화 : 053-560-6672/ 팩 스 : 053-560-6679
이메일 :
geunah@textile.or.kr
홈페이지 :
http://www.textile.or.kr
한국섬유개발연구원은 재직자를 위한 기술재교육과 미취업자를 위한 기술연수
등 다양한 분야의 교육사업을 진행하면서 섬유전반에 대한 이론적 체계를 갖춘
교재의 필요성을 인식하게 되었습니다. 여타의 다른 학문들, 즉 사회과학분야는
총서 개념의 원론이나 개론이 존재하고, 공학의 많은 분야도 이러한 총서개념의
종합개론이 존재합니다. 그러나 섬유는 그 구성이 물리와 화학으로 이루어져 있
어 총서로서 접근하기가 어려운 측면이 있습니다.
啄同時(줄탁동시)라는 고사성어가 있습니다. 병아리가 세상에 나올 때 알속
에서 병아리가 쪼는 것과 어미가 밖에서 쪼는 것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한다는 의
미입니다. 달리 해석하면 물리와 화학분야가 어우러져야 섬유가 발전한다는 것으
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제직과 염색을 동시에 알아야만 우수한 제품을 개발
할 수 있다는 의미로도 해석할 수 있습니다. 본서가 이러한 역할을 하는데 미력이
나 도움이 된다면 발간의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입니다.
융복합이 산업발전의 화두가 되고 있습니다. 섬유의 경계와 영역도 파괴되고,
섬유가 다른 수많은 산업에 접목되어 중요한 부품으로 사용되고 있는 마당에, 같
은 섬유의 영역에서 기술적 결합이나 이해도를 높이는 것은 제품의 새로운 기획
과 개발을 위해 반드시 거쳐야 할 과정일 것입니다. 즉, 스트림간의 이해도를 높
이지 않고 타 산업 간의 기술적 융합을 논하는 것은 본말이 전도된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최근 섬유는 스트림 간 연계를 통해 보다 나은, 보다 새로운 제품을 만들고자
하는 노력이 부단히 진행되고 있고, 제품의 결함을 찾는데도 동일한 맥락에서의
지식이 있어야만 할 것입니다. 이러한 바램을 담아 오래 동안 업체 현장기술자를
대상으로 재교육을 시키면서 체득한 노하우와 지식을 바탕으로 본서를 발간하게
되었습니다. 다행히 한국섬유공학회와 여러 대학의 유능한 교수님들의 참여로 본
교재가 세상에 나올 수 있게 되었습니다.
본 교재는 섬유에 입문하여 기초지식을 쌓고자 하는 학생들에게 섬유공학을 이
해하는데 사용될 수 있도록 집필되었으며, 또한 섬유를 전공하지 않고 섬유관련
업체에 종사하는 사람들도 참고할 수 있도록 편집되었습니다. 따라서 본서는 섬
권두언
유원료에서부터 원사, 제직, 염색, 기술동향, 섬유시험법 등에 이르기까지 종합적인
영역을 다루는 기초입문서가 될 것입니다. 섬유기술의 습득을 위한 교육용 교재로서,
그리고 혼자서 독학을 하기 위한 지침서로서 본서가 사용될 수 있다면 그 목적을 다
하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우리 연구원은 본 교재발간을 위해『한국섬유공학회』와 섬유관련학과가 있는 대학
의 유능한 교수님들과 산업계 연구소장님들을 저자로 모시고 산학연 연계모델로 교
재편찬을 진행해왔습니다.
본 교재가 발간되면 일차적으로 한국섬유개발연구원에서 매년 신입사원들을 위한
기초기술 교육과정에서 사용할 것이며, 아울러 많은 섬유관련학과에서 섬유기초지식
을 전달하기 위한 주교재나 부교재로 활용되기를 기대합니다.
끝으로 본 교재의 편찬을 위해 물심양면으로 도와주신 한국섬유공학회장이신 충남
대학교 주창환 교수님께 심심한 감사를 드리며, 부족한 예산에도 기꺼이 원고 집필을
맡아주신 저자 여러분과 미완의 원고이지만 기꺼이 출판을 허락하신 한림원 김흥중
사장님과 임재경 이사님께도 감사를 드립니다. 아울러 산업체의 현실을 감안하여 늦
은 시간까지 교육을 기획하고 추진하는 우리 연구원 교육사업팀 팀원들에게도 이 지
면을 빌어 감사의 뜻을 전합니다.
2009년 12월
한국섬유개발연구원장 이 춘 식
친환경 녹색사회로 급변하는 시대에 섬유제품은 신기술(6T)의 접목으로 차세대
성장산업에 있어 핵심적인 소재부품의 필수적인 재료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아울
러 섬유기술은 원료에서 최종 응용제품까지 스트림(stream)간의 연계지식이 뒷
받침되어야 새로운 패러다임의 산업구조에 필요한 용도전개가 가능합니다. 따라
서 기술의 융복합시대에 섬유스트림간의 종합적인 지식은 섬유전공자 뿐만 아니
라 비전공자에게도 반드시 필요하며, 이에 알맞은 서적이 절실히 요구됩니다.
한국섬유개발연구원(KTDI)에서 출판하는「섬유기초기술」은 섬유전공자는 물론
일반인도 쉽게 섬유스트림간의 기술을 이해하도록 구성되었으며, 집필진도 각 섬
유분야의 전문가를 엄선하여 핵심내용이 하나도 빠짐없이 알차게 집필되었습니
다. 집필된 서적은 복잡한 섬유제조 스트림기술을 원료에서부터 제품제조, 이들
의 시험평가 및 신섬유 개발동향까지 망라하여 총 10장으로 간단명료하게 구성되
어 있습니다. 세부적인 내용으로 제1장은 섬유(fiber) 종류 및 특성, 제2, 3장은
실(yarn) 제조기술, 제4, 5장은 포(fabric) 제조기술, 제6, 7장은 염색(dyeing)과
가공(finishing)기술을 포함하였습니다. 그리고 제8, 9장은 섬유의 용도전개에
중요한 섬유와 직물시험 및 평가기법을 서술하였으며, 마지막 제10장은 앞으로
전개될 신섬유의 개발동향을 제시하였습니다.
그동안 출판된 많은 섬유서적은 섬유전공자를 위한 섬유공정별 전문서로 섬유
분야에 입문하는 초보자나 비전공 일반인이 이해하기는 매우 난해하였습니다. 누
구나 섬유기술 스트림간의 기초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서적은 거의 출판되지 않
은 것으로 판단됩니다. 이에「섬유기초기술」은 이점을 유념하여 집필된 것으로 섬
유인은 물론 비전공 일반인도 전반적인 섬유지식의 흐름을 쉽게 이해하는데 크게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특히 기술의 융복합화 및 산업의 벽이 없는 현대사
회에 요구되는 광범위한 공학지식 습득을 위해「섬유기초기술」은 섬유공학과는
물론 관련 학과의 저학년용 섬유기술의 입문서로 활용하면 매우 유익할 것으로
생각되어 적극 추천합니다.
2009년 12월
(사)한국섬유공학회장 주 창 환
제1장 섬유재료·1
1. 서론·3
2. 천연섬유·5
2-1. 천연섬유의 개요·5
2-2. 식물성 섬유·6
2-3. 동물성 섬유·9
2-4. 생명공학을 이용한 새로운 천연섬유
소재·13
3. 화학섬유·14
3-1. 화학섬유 개요·14
3-2. 셀룰로오스계 반합성섬유·15
3-3. 합성섬유·23
4. 특수기능섬유·40
4-1. 흡한속건 기능을 갖는 섬유·40
4-2. 고투습발수 기능을 갖는 섬유·41
4-3. 축열보온 기능을 갖는 섬유·42
4-4. 온도조절 기능을 갖는 섬유·43
제2장 사제조 기술·45
1. 방적·47
1-1. 방적의 정의·47
1-2. 방적공정의 개요·47
1-3. 방적의 종류·48
1-4. 방적기 종류 및 특성·48
2. 면사방적·51
2-1. 면사방적의 개요·51
2-2. 면사방적·53
3. 모사방적·61
3-1. 모사방적의 개요·61
3-2. 소모사방적 공정·61
3-3. 방모사방적 공정·62
4. 기타방적·65
4-1. 마 견류 방적·65
4-2. 인조 단섬유사 방적·65
CONTENTS
5. 연사가공사 복합사·68
5-1. 연사·68
5-2. 가공사·69
5-3. 복합사·73
5-4. 코드(cord)·로프(rope)류·76
제3장 사가공 기술·79
1. 서론·81
1-1. 기술의 배경·81
1-2. 기본 이론·82
2. 사가공기술·86
2-1. 가연사 제조기술·86
2-2. 인터레이스사(ITY)의 제조기술·93
2-3. ATY 사의 제조 원리 및 기술·97
3. 가연공정기술·103
3-1. 생산 효율·103
3-2. DTY 물성·104
4. 가연사제조(예)·109
4-1. Wool Like-1·109
4-2. Wool Like-2(Semi-Hard Touch)·109
4-3. Spun Like(Soft Touch)·110
4-4. Linen Like(Hard Touch)·110
4-5. Thick & Thin·111
4-6. Interlace Yarn·111
4-7. Regular Yarn·112
4-8. High Stretch Yarn·112
4-9. Linen Like-2·113
4-10. S/Z Non Torque Yarn·113
제4장 제직준비 및 제직기술·115
1. 제직준비공정·117
1-1. 개요·117
1-2. 제직용 실의 종류·119
2. 권사공정·123
2-1. 개요·123
2-2. 권사장치·123
3. 연사공정·127
3-1. 개요·127
3-2. 연사의 목적·127
3-3. 연사 방법·127
3-4. 연사기의 제특성·128
4. 열고정공정·133
4-1. 개요·133
4-2. 열고정 공정 실례·133
5. 정경공정·134
5-1. 공정 개요·134
5-2. 정경용 크릴·134
5-3. 정경기 종류·136
6. 가호공정·138
6-1. 공정 개요·138
6-2. 가호공정의 관리요소·139
6-3. 호조합과 호부착량·141
7. 통경(通經) 공정·143
7-1. 공정 개요·143
7-2. 통경작업·144
7-3. 통경장치·146
7-4. 틀걸기 작업·147
8. 제직공정·148
8-1. 직기의 개요·148
8-2. 직기의 기본기구·150
8-3. 직기의 특징·165
8-4. 직기의 보조기구·175
제5장 편성기술·181
1. 편성개론·183
1-1. 편성물의 기원·183
1-2. 편성물의 수요·186
2. 편성의개요·187
2-1. 편성물의 정의·187
2-2. 편성물의 주요 특성·188
3. 편성의원리·189
3-1. 니트 제품생산에 사용되는 기계·189
3-2. 편성 요소·190
3-3. 편성 운동·195
3-4. 위편조직·197
4. 편기의조정·202
4-1. 편침의 게이팅(needle gating)·202
4-2. 캠 타이밍(cam timing)의 조정·203
4-3. 편성 인자·207
4-4. 편포의 커버 팩터(cover factor)·212
4-5. 편기 게이지와 실의 굵기·214
4-6. 편성 속도·215
5. 경편성·216
5-1. 편성원리·216
5-2. 편성운동·217
5-3. 경편 기본조직·219
5-4. 런인(run-in)·222
제6장 섬유전처리 및 염색기술·223
1. 염색가공개요·225
1-1. 염색가공의 기초·225
1-2. 염색용수·230
1-3. 염료·230
2. 섬유의전처리·239
2-1. 전처리 기초·239
2-2. 천연섬유의 전처리·241
2-3. 재생섬유의 전처리·242
2-4. 반합성·합성섬유의 전처리·242
3. 침염·243
3-1. 침염의 기초·243
3-2. 천연섬유의 염색·246
3-3. 재생섬유의 염색·255
3-4. 반합성·합성섬유의 염색·256
3-5. 복합섬유의 염색·263
4. 날염·268
4-1. 날염의 기초·269
4-2. 일반날염의 종류 및 공정·276
5. 염색견뢰도 (Color Fastness)·278
5-1. 염색견뢰도의 정의 및 종류·278
5-2. 염색견뢰도 시험법·279
제7장 섬유가공기술·283
1. 섬유가공의 기초·285
1-1. 섬유가공의 의의·285
1-2. 가공목적과 방법에 의한 섬유가공의 분류·286
2. 섬유가공 약제및가공기계·287
2-1. 가공용 호제·287
2-2. 유연제·287
2-3. 수지가공용 약제·288
2-4. 섬유가공기계·294
3. 일반섬유가공·299
3-1. 천연 섬유의 가공·299
3-2. 합성섬유의 일반가공·303
3-3. 폴리에스터 직물의 알칼리처리 가공·303
4. 주요가공·305
4-1. 셀룰로오스 섬유의 수지가공·305
4-2. 합섬(가공사)직물의 수지가공·310
4-3. 발수가공·310
4-4. 방염가공과 난연가공·311
5. 코팅가공·313
6. 최신특수가공·316
6-1. 향균방취가공(위생가공)·316
6-2. 소취가공·317
6-3. 방향가공·318
6-4. 플로킹(flocking)·318
6-5. 주름가공·318
6-6. 항필링가공·319
6-7. 심색가공·319
6-8. 자외선 차폐가공과UV차단가공·320
6-9. 방융가공·321
제8장 섬유시험 및 평가법·323
1. 시험과 평가의개요·325
1-1. 국내외 섬유시험규격·325
1-2. 섬유제품의 시험·평가 절차·326
2. 섬유의감별및혼용율·327
2-1. 섬유의 감별법·327
2-2. 섬유의 혼용율 측정법·331
3. 섬유제품의 외관평가방법·333
3-1. 필링시험(Pilling)·333
3-2. 스낵시험(snag)·335
3-3. 드레이프성·335
4. 염색견뢰도 시험·평가방법·336
4-1. 일광견뢰도·337
4-2. 세탁견뢰도·338
4-3. 땀 견뢰도·339
4-4. 마찰견뢰도·339
5. 형태안정성 평가방법·339
5-1. 치수안정성(Dimensional Stability)·339
5-2. 사행도(Skewness, Spirality)·341
제9장 직물조직 및 분해설계·343
1. 직물조직·345
1-1. 천(fabrics)의 정의·345
1-2. 직물(woven fabrics)의 구조·345
1-3. 교차점(交叉點, stitch place)·346
1-4. 직물조직의 종류와 분류·346
1-5. 직물의 조직도(組織圖, design)·347
1-6. 원조직(原組織, foundation weave, 삼원조직,
기초조직, 기본조직)·348
1-7. 원료의 감별 및 표면, 경, 위사 방향·356
1-8. 실의 굵기(번수)·359
2. 직물분해설계·363
2-1. 분해의 개념·363
2-2. 분해에 필요한 도구·364
2-3. 직물의 분해항목·364
2-4. 직물 설계·364
제10장 신섬유 개발동향·379
1. 섬유의연구대상·381
1-1. 경·위사의 시스템 과학·381
1-2. 섬유의 용도전개·382
2. 바이오미메틱스에 의한합섬개발·387
2-1. 실키 합섬의 개발·387
2-2. 합섬 개발의 흐름·389
2-3. 쾌적 신합섬의 등장·390
2-4. 차세대의 감성섬유·391
3. 고기능섬유의최근동향·394
3-1. 고기능섬유의 현상·394
3-2. 고기능 섬유·397
4. 패션소재의 감성발현·414
4-1. 패션소재의 설계·415
4-2. 패션 소재특성 발현·4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