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림원출판사 홈페이지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Home
>
기술과학
>
기술
실리콘 디코디드 (이대실)
■
판매가격 :
15,000 원
■
구매문의 : MS북스 (TEL. 02-707-2343)
책소개
작가소개
목차
대한화학회 뉴스지, ‘화학세계’ 2013 7월호 71쪽,
『실리콘 디코디드』 (한림원, 2013), 이대실 저
이 책의 저자인 이대실 교수는 생명의 ‘끈’이며 자연이 인류에게 열어준 보물지도이기도 한 DNA를 평생 연구해 왔다. 그는 일찍이 한국생명공학연구원에서 책임연구원, 유전체사업단장 등을 역임하면서 오랫동안 DNA를 기반으로 한 “생학(生學, bioscience)”의 연구 및 보급에 종사하다가 은퇴한 후 현재 울산대학교 생명과학부에서 산학협력교수로 재직 중이다. 그는 역서인 『DNA 백년사(1995)』 (Portugal, Cohen 공저)와 저서인 『보이지 않는 끈 (2008)』, 『DNA는 보물지도였다 (2008)』, 『끈–끈 (2010)』을 출간하여 왕성한 저술 활동을 한 바 있다.
그 밖에도 그는 많은 방송 출연 및 신문 칼럼을 집필하여 “생학” 전도에 열성을 기울여 왔다. 그는 또한 “생학”의 연구 및 전도에 그치지 않고 눈부신 성장을 하고 있는 벤처기업인 ㈜ 바이오니아 (대표: 박한오)의 출범에도 간접적인 산파 역할을 한 산학협력의 대부이기도 하다.
탄수화물화학을 전공하고 유전공학, 유전체, 탄수화물효소공학 등에 많은 관심을 가져온 이 교수가 이번에는 교양서적을 뛰어 넘어 과학소설의 장르에 도전을 하였다.
이 책에서 등장하고 있는 화학 원소인 규소(실리콘, Silicon)는 그 동안 반도체 산업의 총아로서 많은 각광을 받아 왔고 또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흥미롭게도 규소는 원소의 주기율표에서 탄소와 같은 족에 속해 있다. 지구의 수 많은 유기 화합물과 모든 생명체가 탄소를 기반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그렇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탄소의 대체 원소로 규소를 꼽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일 것이다.
먼저 심층 해저에서 채취한 암석미생물로부터 얻어지는 규소기반 고분자 형태의 유전물질이 반도체 소재에 적합하도록 설계 및 개발하고자 하는 반도체 회사의 연구과정이 전개된다. 이어서 경쟁 업체의 무리한 개발 과정에서 우연히 만들어진 괴생명체의 출현과 이로 인한 환경 재앙 수준의 사고 발생 및 대응 과정이 매우 숨가쁘게 진행되어 일반 소설에서도 찾을 수 없는 긴박감마저 느끼게 한다. 이 과정에 관계되는 효소들의 역할, 연구원들의 실험설계 및 수행과정 등이 실제 상황처럼 생생하게 전개되는 것은 바로 저자의 오랜 실제 경험을 바탕으로 하였기 때문이었으리라. 그리고 소설의 구성 및 유연한 스토리 텔링는 저자가 그 동안 언론에 연재 칼럼을 기고한 오랜 경험에서 오는 것이리라.
이 책은 생명과학 분야에 종사하는 독자들에게 직접적으로 매우 흥미로운 아이디어를 제공하는 유익하고도 재미있는 참고문헌이 될 것이다. 또한 일반 독자들도 과학 연구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과학자들의 생각 및 연구 과정을 흥미롭게 엿볼 수 있는 색다른 경험을 하게 될 것이다. 얼마 전에 노벨화학상 수상자인 로알드 호프만이 동료 과학자와 집필한 희곡인 “산소”가 국내에서도 공연된 바 있다. 이 책도 그 내용을 적절히 각색한다면 한 편의 흥미진진한 공상과학 영화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신국조
(울산과기대 석좌교수, 서울대 명예교수, 화학)
2013. 6. 20.
한국일보, [과학단신] 2013.05.13
과학자 이대실 교수, SF소설 '실리콘 디코디드' 출간
이대실 울산대 생명과학부 교수가 공상과학소설 <실리콘 디코디드(Silicon decoded)>를 펴냈다. 전자회사의 실험실 사고로 방출돼 환경을 파괴시키던 암석 속 미생물이 외계생명체라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이를 차세대 분자반도체 개발에 이용해 미래 전자산업을 발전시킨다는 과학자의 이야기다. 이 교수는 "소설을 통해 생명의 기원과 생명이 가진 유전정보 개념을 일반 독자들에게 흥미롭게 제시하고 싶었다"고 밝혔다.
과학과 기술 2013년 7월호 신간소개
실리콘 디코디드
한국생명공학연구원에서 유전공학, 유전체, 탄수화물효소공학 등의 연구로 평생을 보낸 이대실 박사가 우리나라에서 찾아보기 어려운 과학소설에 도전했다. 20세기를 정보화 사회로 만들어준 반도체의 핵심인 실리콘(Si)이 이야기의 핵심이다. 탄수를 기반으로 하는 지구 생명체의 유전물질과 규소를 기반으로 하는 외계생명체의 유전정보를 통하여 생명의 기원과 정보에 대한 수준 높은 해석을 제시한다.
저자 | 이대실
1. 규소란? --------- 3
2. 아득히 먼 옛날 --------- 9
3. 심해화산 호열균 채취 --------- 15
4. SAMi연구소 --------- 25
5. 극한환경미생물 컨퍼런스 --------- 35
6. SAMi사 연구발표 --------- 59
7. 아버지 집에서 --------- 67
8. Sub-P 제약회사 연구소 --------- 79
9. 암석미생물의 규소고분자 --------- 105
10. 이다도와 방소연의 만남 --------- 129
11. 황산화효소 유전자의 클로닝 --------- 141
12. 암석미생물의 대량배양 --------- 155
13. 규소세포막의 분해효소를 찾아 --------- 169
14. 규소고분자 반도체의 시제품 제작 --------- 191
15. 방소연과 이다도 박사와의 밀회 --------- 201
16. ISO사의 대응전략 --------- 213
17. 괴생명체의 출현 --------- 231
18. 김수덕 박사의 집에서 --------- 253
19. 비상재해대책위원회 구성 --------- 265
20. 외계생명체 --------- 293
21. 김도이와 박수지의 대화 --------- 313
22. 괴생물의 억제제를 찾다 --------- 333
23. 차세대 반도체소재 개발 --------- 349
24. 외계생명체 유전정보의 해독 --------- 357
25. 외계생명체를 보면서 --------- 3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