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머 리 말
제 1 편 총 설 1 제1장 항만 및 어항의 정의 3 제2장 항만 및 어항의 시설 3 제3장 설계 및 공사용 기준면 4 3.1 기준면 4 3.2 기준면 성과나 T.B.M이 없는 지역의 기준면 구하기 4 3.3 국제적 해도 기준면 4 제4장 항만 및 어항시설의 유지관리 4 제 2 편 항만 및 어항의 계획 7 제1장 총 설 9 1.1 항만 및 어항의 개요 9 1.2 항만의 종류 10 1.3 계획의 개념 11 1.4 목적과 필요성 11 제2장 항만 및 어항계획의 내용 및 순서 11 2.1 계획의 개요 11 2.2 계획의 구분 11 2.3 항만 및 어항계획의 내용 12 제3장 항만계획의 방침설정 12 3.1 항만계획의 입지와 배치 12 3.2 항만계획의 방침 13 3.3 항만규모의 설정 14 3.4 취급화물량 추정 14 제4장 항만계획과 조사 15 4.1 조사범위 15 4.2 자연조건 및 지리조건 조사 16 4.3 경제조건 및 사회조건 조사 16 제5장 항만용지의 이용 및 경관∙ 친수계획 17 5.1 개 요 17 5.2 항만용지의 이용계획 17 5.3 친수․친환경 및 경관계획 17 제6장 항만분야의 방재계획(防災計劃) 18 6.1 개 요 18 6.2 재해, 재난의 원인과 형태 18 6.3 재해, 재난의 대처계획 20 기술사 출제문제 23 제 3 편 설계에 적용되는 제반 조건 37 제1장 개 요 39 1.1 일반사항 39 1.2 설계조건의 설정 39 1.3 항만시설 설계시 고려사항 39 제2장 선 박 40 2.1 대상선박의 제원 40 2.2 선박에 의하여 발생하는 외력 41 제3장 조 석 43 3.1 설계조위 43 3.2 천문조 44 3.3 폭풍해일 48 3.4 지진해일 48 3.5 부진동 51 3.6 공사에 따른 조석의 변화 52 3.7 지하수위와 침투 53 제4장 흐 름 54 4.1 흐름의 제원 54 4.2 수중부재 및 구조물에 작용하는 흐름의 힘 56 4.3 흐름에 대한 피복재의 안정중량 57 제5장 바람과 풍압력 57 5.1 일 반 57 5.2 바 람 57 5.3 풍압력 58 제6장 파랑(설계파) 60 6.1 일반사항 60 6.2 설계파의 산정방법 62 6.3 설계파랑의 통계분석 64 6.4 파랑의 변형 64 6.5 쇄 파 67 6.6 처오름 높이 및 전달파고 69 6.7 장주기파 및 부진동 71 6.8 항내파랑 71 제7장 파 력 72 7.1 적용기준 72 7.2 직립벽에 작용하는 파력 72 7.3 경사방파제의 피복석 또는 블록의 안정중량 77 7.4 흐름에 대한 사석의 안정중량 79 7.5 수중부재에 작용하는 파력 79 7.6 부체에 작용하는 파력 80 7.7 수면부근의 구조물에 작용하는파력 80 제8장 하구수리 81 8.1 일반사항 81 8.2 하구의 매몰 82 제9장 표 사 83 9.1 일반사항 83 9.2 구조물 주변의 세굴 85 9.3 해빈변형 예측 86 9.4 수리 및 수치모형실험 87 제10장 지진 및 지진력 98 10.1 일반사항 98 10.2 항만시설의 내진등급 및 내진성능 목표 98 10.3 설계지진하중 99 10.4 입지조건 및 지반조사 101 10.5 해석 및 설계의 일반규정 101 제11장 지반 및 지반조사 103 11.1 지반조건의 결정방법 103 11.2 흙의 물리적 특성 104 11.3 흙의 역학적 성질 106 11.4 N값의 해석방법 108 11.5 표준관입시험 이외의 사운딩 (Sounding) 109 11.6 흙의 동적 성질 110 11.7 토압과 수압 111 제12장 지반의 액상화 115 12.1 일반사항 115 12.2 액상화의 예측․판정 115 12.3 액상화 대책 116 제13장 부체에 작용하는 외력과 동요 116 13.1 일 반 116 13.2 부체에 작용하는 외력 117 13.3 부체의 동요 및 계류력 118 제14장 마찰계수 119 14.1 일반사항 119 14.2 정지마찰계수 119 14.3 마찰증대용 매트의 마찰계수 119 14.4 현장치기 콘크리트의 마찰계수 119 14.5 기타 마찰계수 119 제15장 상재하중 119 15.1 일반사항 119 15.2 자중 및 재하하중 120 15.3 적재하중 120 15.4 활하중 120 15.5 군중하중 121 제16장 안전율 121 16.1 계류시설의 안전율 121 16.2 방파제시설의 안전율 121 16.3 지반의 액상화에 대한 안전율 121 16.4 항로표지시설의 안전율 122 기술사 출제문제 123 제 4 편 기초처리 공법 141 제1장 기초처리공사 개요 143 제2장 강제치환 공법 143 제3장 기초터파기 143 제4장 말뚝 기초 144 4.1 개 요 144 4.2 나무말뚝 144 4.3 철근콘크리트 말뚝 145 4.4 강말뚝 146 4.5 지지력 검토 148 4.6 합성말뚝 151 4.7 콘크리트 현장 타설 말뚝 151 제5장 지반개량 공법 152 5.1 개 요 152 5.2 버티컬 드레인(Vertical drain) 공법 152 5.3 샌드 콤펙션 말뚝 공법(Sand com -paction pile method: SCP) 155 5.4 심층혼합처리 공법 156 5.5 로드 콤펙션 공법 (Rod compac -tion method) 159 5.6 바이브로 플로테이션 공법(Vibro flotation method) 160 5.7 쇄석말뚝 공법 160 5.8 시멘트 모르터 그라우팅 공법 161 5.9 각종 지반개량공법의 비교 161 제6장 최근 시행되고 있는 지반개량 공법 소개 162 6.1 개 요 162 6.2 다짐말뚝 공법 162 6.3 시멘트 모르터 그라우팅 공법 163 6.4 고압분사식 혼합 공법 164 6.5 기계식 혼합처리 공법 164 기술사 출제문제 166 제 5 편 수역시설 171 제1장 개 요 173 제2장 항 로 173 2.1 일 반 173 2.2 항로의 법선 173 2.3 항로의 폭 173 2.4 항로의 수심 174 2.5 항 입구부의 항로연장 174 2.6 항로의 정온도 174 제3장 박 지 174 3.1 일 반 174 3.2 일반선박의 박지 175 3.3 어선용 박지 176 제4장 선회장 176 4.1 선박의 선회장 176 4.2 어선용 선회장 177 4.3 어선용 슬립 및 기타수역 177 제5장 선류장 178 제6장 수역시설의 유지관리 178 기술사 출제문제 179 제 6 편 외곽시설 183 제1장 총 설 185 1.1 개 념 185 1.2 기 능 185 1.3 주변환경에 미치는 영향 185 1.4 일 반 185 제2장 방파제 185 2.1 계획의 기본방침 185 2.2 방파제의 배치 186 2.3 설계조건의 결정 187 2.4 구조형식의 선정 187 2.5 기본단면의 설정 188 2.6 외력계산 190 2.7 안정계산 191 2.8 구조세목 193 2.9 부재계산 194 2.10 목재취급시설 방파제 194 2.11 폭풍해일 방파제 194 2.12 지진해일 방파제 194 제3장 기타형식의 방파제 195 3.1 구조형식의 선정 195 3.2 중력식 특수 방파제 195 3.3 비중력식 특수 방파제 198 3.4 해수교환 방파제 205 제4장 선거(Wet dock) 209 4.1 일 반 209 4.2 설치위치의 선정 209 4.3 규모 및 형상 209 4.4 구조형식의 선정 210 4.5 작용외력 및 하중 211 4.6 주 배수 장치 211 4.7 유도제 211 4.8 관리시설 211 제5장 호 안 211 5.1 일 반 211 5.2 호안의 배치 211 5.3 계획의 기본방침 212 5.4 설계조건 212 5.5 마루높이의 결정 212 5.6 구조형식의 선정 213 5.7 구조 상세설계 215 제6장 매몰대책시설 216 6.1 일 반 216 6.2 방사제 217 6.3 돌제군 218 6.4 도류제 218 6.5 표사 또는 하천유하토사 방지공 218 6.6 비사 방지공 219 제7장 침식대책시설 219 7.1 일 반 219 7.2 침식대책공법의 선정 219 7.3 제방과 호안 220 7.4 돌출제군 220 7.5 이안제 222 7.6 양빈공 223 기술사 출제문제 224 제 7 편 계류시설 241 제1장 접안시설 243 1.1 개 요 243 1.2 부두의 규모결정 243 1.3 부두의 방향 243 1.4 부두의 연장 243 제2장 안벽시설의 제원 243 2.1 선석의 치수 243 2.2 계류시설의 마루높이 245 2.3 안벽의 축조한계 245 2.4 설계수심 245 2.5 세굴방지공 245 2.6 구조형식 245 제3장 중력식 246 3.1 설계의 기본방침 246 3.2 벽체에 작용하는 외력과 하중 247 3.3 안정계산 247 3.4 뒷채움의 효과 248 3.5 세부설계 249 제4장 널말뚝식 249 4.1 기본방침 249 4.2 널말뚝벽에 작용하는 외력 250 4.3 널말뚝의 설계 250 4.4 타이(Tie)재의 설계 252 4.5 웨일링(Waling)의 설계 252 4.6 버팀공의 설계 252 4.7 세부설계 254 4.8 연약지반일 때 주의사항 255 제5장 선반식 256 5.1 설계의 기본방침 256 5.2 선반의 높이, 폭의 결정 256 5.3 널말뚝에 작용하는 토압과 잔류수압 257 5.4 널말뚝의 계획 257 5.5 선박부의 계획 257 5.6 중력식 벽체로서의 안정검토 258 5.7 원호활동에 대한 검토 258 제6장 강널말뚝 셀식 259 6.1 기본방침 259 6.2 강널말뚝 셀에 작용하는 외력 및 하중 259 6.3 벽체의 전단변형에 대한 검토 260 6.4 벽체 전체의 안정검토 262 6.5 널말뚝 인장력의 계산 264 6.6 세부계획 264 6.7 프리패브셀(Prefabcell) 공법 264 제7장 강판 셀식 265 7.1 일 반 265 7.2 거치식 강판셀 안벽 265 7.3 근입식 강판셀 안벽 267 제8장 잔교식 269 8.1 총 설 269 8.2 직항식 횡잔교 269 8.3 사조항식 횡잔교 274 8.4 원통식(圓筒式) 또는 각통식(角筒式) 횡잔교(橫棧橋) 276 8.5 교각식(橋脚式) 횡잔교(橫棧橋) 276 제9장 부잔교 277 9.1 설계의 기본방침 277 9.2 폰툰의 계획 278 9.3 계류시스템의 계획 280 9.4 연락교(連絡橋)와 도교(渡橋)의 계획 281 제10장 돌 핀 282 10.1 기본방침 282 10.2 돌핀의 배치 283 10.3 돌핀에 작용하는 외력 및 하중 283 10.4 말뚝식 돌핀 284 10.5 강제셀식 돌핀 284 10.6 케이슨식 돌핀 284 제11장 선양장 284 11.1 일 반 284 11.2 설치위치의 선정 284 11.3 제원의 결정 284 11.4 양육부 벽체 및 포장 285 11.5 측 벽 285 제12장 계선부표 286 12.1 기본방침 286 12.2 설계조건 287 12.3 계선부표에 작용하는 견인력 287 12.4 계선부표 각 부의 계획 288 제13장 기타형식의 계류시설 289 13.1 디태치드 피어 289 13.2 자립식 널말뚝 구조 290 13.3 버팀사항 널말뚝식 291 13.4 전면 버팀사항 널말뚝식 292 13.5 이중 널말뚝식 구조 293 13.6 직립소파식 구조 294 13.7 에어 쿠션 보트 발착시설 296 제14장 부속설비 296 14.1 방충설비 296 14.2 계선주와 계선환 298 14.3 차막이 및 모서리 보호공 299 14.4 급․배수설비 299 14.5 조명설비 299 14.6 기타 부속설비 301 제15장 부두뜰 302 15.1 기본방침 302 15.2 부두뜰의 형상 302 15.3 부두뜰의 침하대책 303 15.4 하중조건 303 15.5 부두뜰 콘크리트포장 계획 303 15.6 부두뜰 아스팔트포장 계획 306 15.7 블록포장의 계획 306 제16장 어항의 계류시설 307 16.1 일 반 307 16.2 안벽 및 물양장 307 16.3 계류시설의 배치 308 16.4 계류시설의 계획 309 16.5 계류시설의 제원 310 16.6 계류시설의 구조형식 311 16.7 중력식 물양장 312 16.8 널말뚝식 물양장 313 16.9 잔교식 물양장 314 16.10 계단식 물양장 314 16.11 부잔교 316 16.12 선양장 318 16.13 기타 계류시설 319 16.14 부속설비 319 기술사 출제문제 323 제 8 편 기타 항만시설 333 제1장 총 설 335 제2장 임항교통시설 335 2.1 개 요 335 2.2 도 로 335 2.3 주차장 337 2.4 운하시설 337 2.5 그 외 시설 340 제3장 하역시설 340 3.1 일 반 340 3.2 화물하역장 340 3.3 헛 간 340 3.4 하역기계 340 3.5 수산물 하역시설 341 제4장 선박보급시설 341 4.1 일 반 341 4.2 급수시설 341 제5장 항만지원시설 341 제6장 항만친수시설 342 제7장 케이슨제작, 진수시설 342 7.1 일 반 342 7.2 진수방법의 선정 343 7.3 진수시설과 진수방법 343 7.4 케이슨의 제작장 시설(예) 349 제8장 소파케이슨과 기타 소파구조물 349 8.1 소파구조물 개요 349 8.2 소파케이슨 349 8.3 기타 소파구조물 350 제9장 신형식 소파블록의 수리모형 실험 소개 351 9.1 총 설 351 9.2 수리모형실험 351 9.3 수리모형실험 결과 353 9.4 결 론 354 9.5 동해안에서의 적정 마루높이 검토 354 기술사 출제문제 357 제 9 편 전문부두 계획 359 제1장 개 요 361 1.1 전문부두의 개념 361 1.2 부두의 시설 361 제2장 컨테이너부두 361 2.1 계획의 기본방침 361 2.2 주요시설 및 규모 361 제3장 페리부두 363 3.1 계획의 기본방침 363 3.2 주요시설 및 규모 364 3.3 페리부두의 계획(예) 365 제4장 잡화부두 366 제5장 목재부두 366 5.1 개 요 366 5.2 수상하역 366 5.3 육상하역 366 5.4 목재부두의 규모산정 366 제6장 기타 전용부두 367 6.1 살물부두 367 6.2 위험물부두 368 제7장 대형탱커 전용부두 369 7.1 총 칙 369 7.2 위치의 선정과 시설계획 369 7.3 규모의 결정 369 7.4 구조형식 369 7.5 계획의 기본방침 371 7.6 설계외력 및 하중 372 7.7 고정식 계류시설의 계획 372 7.8 부표식 계류시설의 계획 374 7.9 화물처리시설 375 7.10 시설의 유지관리 375 기술사 출제문제 377 제 10 편 어항의 기능시설 및 기타시설 383 제1장 개 요 385 제2장 기능시설 및 기타시설 385 2.1 기능시설 385 2.2 기타시설 386 제3장 어항시설용지 386 3.1 개 요 386 3.2 위판장용지 386 3.3 제빙․저빙시설용지 387 3.4 냉동․냉장시설용지 388 3.5 급유시설용지 388 3.6 야적장 390 3.7 어구수리장용지 391 3.8 가공시설용지 391 3.9 수산창고용지 392 3.10 어구창고용지 393 3.11 어선수리장용지 394 제4장 어항의 정화시설 395 4.1 일 반 395 4.2 오수의 종류와 발생량 395 4.3 오수의 처리방법 395 4.4 도수시설 또는 유통시설 397 제5장 어항 환경시설 397 5.1 개 요 397 5.2 환경정비 397 5.3 종합다기능어항 개발 399 기술사 출제문제 400 제 11 편 마리나 401 제1장 일 반 403 1.1 개 요 403 1.2 시설위치 선정 및 계획 403 제2장 대상선박의 제원 403 제3장 마리나 시설계획 404 3.1 개 요 404 3.2 수역시설 404 3.3 외곽시설 405 3.4 계류시설 405 3.5 상가․하가시설 407 3.6 관리운영시설 407 3.7 선박역무시설 408 3.8 항내교통시설 409 3.9 부대설비 409 제4장 요트항의 계획사례 410 4.1 개 요 410 4.2 계획사례 410 기술사 출제문제 412 제 12 편 항로표지시설 413 제1장 총 설 415 1.1 항로표지시설의 목적 415 1.2 항로표지시설 415 1.3 항로표지 설치의 기본요건 415 1.4 항로표지의 분류와 종류 415 1.5 사용목적상의 분류 415 제2장 광파표지 416 2.1 일 반 416 2.2 광파표지의 기본요건 416 2.3 광파표지의 종류별 설계요건 416 2.4 기본이론 419 제3장 음파표지 426 3.1 개 요 426 3.2 음파의 성질 426 3.3 소리의 발생 426 3.4 소리의 단위 426 3.5 소리의 종류 427 3.6 매스킹 효과 427 3.7 음향전파에 관한 물리학적 성질 427 3.8 음향전파의 기상․해상조건의 영향 427 3.9 지리학적 및 생리학적 영향 428 3.10 무신호기의 종류 428 제4장 전파표지 429 4.1 개 요 429 4.2 전파표지의 종류 429 4.3 로란-C 430 4.4 GPS 430 4.5 DGPS 430 4.6 GLONASS 430 4.7 응답기 430 4.8 레이더 표지 430 4.9 무선표지국 430 제5장 항로표지시설 계획 431 5.1 개 요 431 5.2 등대 및 등표의 구조물 431 5.3 등탑의 기초 435 5.4 등부표 439 기술사 출제문제 445 제 13 편 해상 저유시설 447 제1장 일 반 449 1.1 개 요 449 1.2 용어의 정의 449 제2장 위치선정 및 시설계획 449 2.1 설치장소의 선정 449 2.2 시설의 배치 449 제3장 기본방향 및 설계외력 450 3.1 계획시 기본방향 450 3.2 설계외력과 하중 450 제4장 해상저유기지의 항만시설 451 4.1 일 반 451 4.2 외곽시설 451 4.3 수역시설 453 4.4 계류시설 453 4.5 부대설비 455 제 14 편 준설 및 매립 457 제1장 준 설 459 1.1 일 반 459 1.2 조 사 459 1.3 준설토량 산출 459 1.4 준설선과 준설방법 460 1.5 준설토 투기장 선정과 투기방법 463 1.6 준설선의 취업시간과 운전시간 및 수리기간 464 1.7 공정계획 464 1.8 시공관리 464 제2장 매 립 467 2.1 일 반 467 2.2 매립조건 조사 467 2.3 매립토량의 계산 467 2.4 매립공사의 순서 468 2.5 호안구조물 468 2.6 물막이 공사 469 2.7 매립방법 470 기술사 출제문제 472 제 15 편 기타 시설 475 제1장 항만 및 어항의 리모델링 477 1.1 배 경 477 1.2 개 념 477 1.3 리모델링 대상 477 제2장 항만 및 어항의 경관설계 478 2.1 서 론 478 2.2 항만경관의 요소 478 2.3 항만경관의 설계시 검토 사항 478 2.4 항만 및 어항의 경관설계 478 제3장 선박의 건조 및 수리시설 494 3.1 총 설 494 3.2 건조․수리시설의 종류 494 3.3 선가사로 시설 494 3.4 상가식 선거 495 3.5 건선거 시설 496 3.6 부선거 시설 497 제4장 그린에너지 지원시설 499 4.1 개 요 499 4.2 풍력발전시설(風力發電施設) 499 4.3 조력발전시설(潮力發電施設) 500 4.4 조류발전시설(潮流發電施設) 503 4.5 파력발전시설(波力發電施設) 504 4.6 화력 및 원자력발전 지원시설 506 제5장 그 외의 시설 513 기술사 출제문제 514 ■ 찾아보기(索引:Index) 519 ■ 기술사 답안지 작성요령 528 ■ 참고문헌 5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