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림원출판사 홈페이지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Home
>
기술과학
>
기술
섬유 가공학 개론
■
판매가격 :
25,000 원
■
구매문의 : MS북스 (TEL. 02-707-2343)
책소개
작가소개
목차
섬유가공학개론
고석원| 한림원| 2007.02.22 | 410p | ISBN : 8957081321
책 소개
섬유 가공은 흔히 섬유 공업의 꽃이라고 한다. 의류용이나 산업용 섬유 소재의 품질을 완성하는 최종 공정일 뿐 아니라, 섬유 공업의 공정 가운데 어느 공정보다도 부가가치의 창출이 크기 때문일 것이다. 이러한 섬유 가공도 불과 60년 전에는 개발 기술이 많지 않아 기계적인 마무리 공정의 영역을 벗어나지 못했기 때문에 염색의 한 분야로 취급되어 왔었다.
1950년대에 들어오면서 섬유가공은 새로운 도약의 계기를 맞이하게 되는데, 합성 섬유의 출현이 바로 그 계기가 된다. 기존 천연 섬유 시장에 새로운 합성 섬유의 출현은 자연스럽게 서로 경쟁을 유발하게 되고, 이에 따라 관련 산업들은 각기 상대 섬유의 장점을 부여 목표로 설정해 놓고 경쟁적으로 새로운 가공 기술을 개발하게 된다. 이어서 생활 수준의 향상에 따라 인간의 욕구를 다양하게 충족시키기 위해 건강이나 쾌적성과 관련된 새로운 가공 기술들이 개발됨으로서, 섬유 가공은 섬유 공업 가운데 어느 분야 보다도 그 기술이 다양하고 많은 소프트웨어를 갖게 된다.
그러나 섬유 가공에 관한 서적은 현재 섬유 공업의 다른 분야에 비해 출판된 어느 단행본도 학문적인 체계를 갖추지 못하고 있다. 대부분의 섬유 가공 단행본은 현장 기술자용으로 저술된 것이 많고, 일부 이론적으로 다룬 것도 있으나 학문적인 체계를 도외시하고 각 가공을 독립적으로 취급한 것이 있는가 하면, 어느 하나의 특정 가공만을 다룬 것만이 나와 있을 뿐이다.
저자는 이제까지 개발된 가공 기술들을 그들이 추구하는 목적에 따라 세가지 가공, 즉 감성 가공, 착용 성능 가공 및 기능 가공으로 분류하고 이들 분류에 속하는 세부 가공들의 기본 원리와 개발 배경을 기술함으로서, 섬유 가공의 학문적 체계의 확립과 기본 원리의 응용에 의한 새로운 가공 및 가공제의 개발 능력을 부여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책이 발간되기 까지는 참으로 많은 시간을 낭비했다. 저자 자신이 후학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내용을 담은 책을 저술할 수 있을지 여부에 대한 의구심으로 집필의 중단을 반복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부족한 내용이지만 평생동안 터득한 지식을 후학들에게 물려주는 것이 도리로 생각되어 빛을 보게된 것이다.
저자 | 고석원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서울대학교 대학원(공학박사)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교수
한국섬유공학회 회장
제2회 아시아 섬유회의 집행위원장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정회원
서울대학교 명예교수(현)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원로회원(현)
제1장 섬유 가공 개요 1
1.1 섬유 가공의 정의 3
1.2 섬유 가공의 특징 및 분류 5
제2장 섬유 가공 공정 7
2.1 섬유 가공 공정 개요 9
2.2 섬유 가공과 에너지 10
2.2.1 소프트웨어적인 측면에서의 에너지 절감 14
2.2.2 하드웨어적인 측면에서의 에너지 절감 15
2.3 부여 과정과 반응 또는 고착 과정 19
2.3.1 개요 19
2.3.2 부여 과정 21
(1) 패딩 맹글 22
(2) 코팅과 라미네이팅 36
2.3.3 반응 또는 고착 과정 44
2.4 수세 과정 48
2.5 탈수 과정 54
2.6 건조 과정 57
제3장 감성 가공 67
3.1 시감 가공 70
3.1.1 머서화가공 71
(1) 셀룰로스에 대한 알칼리의 작용 72
(2) 머서화가공과 면섬유의 구조 변화 78
(3) 머서화가공이 면섬유의 성질에 미치는 영향 80
(4) 머서화가공 공정 82
3.1.2 액체암모니아가공 88
(1) 액체 암모니아가 면섬유의 구조에 미치는 영향 89
(2) 액체 암모니아 처리 공정 91
3.1.3 파치먼트가공 96
(1) 황산에 의한 파치먼트가공 96
(2) 기타 약제에 의한 파치먼트가공 98
3.1.4 소광가공 100
(1) 방사 과정에서의 소광 101
(2) 가공 과정에서의 소광 102
3.1.5 수축 가공 107
(1) 견직물의 염축가공 108
(2) 리플가공 109
(3) 크레이프가공 110
3.1.6 카멜레온가공 112
(1) 포토크로미즘을 이용한 카멜레온가공 113
(2)서모크로미즘을 이용한 카멜레온가공 116
3.1.7 기타 시감 가공 117
3.2 촉감 가공 119
3.2.1 유연가공 120
(1) 화학적 유연가공 121
(2) 기계적 유연가공 133
3.2.2 경화가공 134
3.2.3 증량가공 138
(1) 주석 증량 139
(2) 탄닌 증량 141
3.2.4 보온가공 142
3.3 후감 가공 143
3.4 청감 가공 146
제4장 착용 성능 가공 149
4.1 면제품의 듀어러블프레스가공 152
4.1.1 가공제와 가공제의 합성 157
4.1.2 촉매 164
4.1.3 가공 공정 167
4.1.4 N-메틸올 화합물 가공에 의해 나타나는 결함 175
(1) 포름알데히드 냄새 175
(2) 비린내 177
(3) 가공 직물의 클로린 리텐션과 염소 상해 179
4.1.5 100% 면직물의 듀어러블프레스가공 181
(1) 중합체 침적 방식 181
(2) 중합체 첨가 방식 183
(3) 선택 처리 방식 183
(4) 팽윤 처리 방식 183
(5) 기타 방법 184
4.2 견직물의 워시앤드웨어가공 187
4.3 모직물의 포질 고정 189
4.3.1 모직물의 평표면고정가공 192
(1) 자융 193
(2) 증융 195
(3) 폿팅 196
4.3.2 모직물의 주름고정가공 197
4.4 축융 199
4.4.1 펠팅 기구 199
4.4.2 축융 공정 202
4.5 합성 섬유 직편물의 열고정 206
4.6 방축가공 209
4.6.1 면직물의 방축가공 211
4.6.2 모제품의 방축가공 215
(1) 이완수축방지가공 217
(2) 방축가공 218
제5장 기능 가공 229
5.1 발액 가공 231
5.1.1 습윤 232
5.1.2 발수가공 237
(1) 탄화수소계 소수성 화합물에 의한 발수가공 238
(2) 실리콘(폴리실록산)에 의한 발수가공 245
5.1.3 발수발유가공 249
(1) 발수 발유 가공제 252
(2) 발수발유가공 254
5.1.4 투습방수가공 254
(1) 코팅에 의해 미세 다공성 막을 천의 표면에 형성시키는 방법 255
(2) 미세 다공성 막을 천에 라미네이트 시키는 방법 256
5.2 방오가공 258
5.2.1 오구 258
5.2.2 오염 259
5.2.3 방오 가공제와 방오가공 260
5.3 방염가공 270
5.3.1 섬유의 연소 과정 270
5.3.2 방염 메카니즘 272
5.3.3 상승 작용 278
5.3.4 방염제와 방염가공 282
(1) 셀룰로스섬유제품의 방염가공 283
(2) 양모제품의 방염가공 302
(3) 폴리에스테르제품의 방염가공 305
(4) 폴리에스테르/면 혼용 제품의 방염가공 310
(5) 나일론 제품의 방염가공 316
(6) 아크릴제품의 방염가공 318
(7) 폴리프로필렌제품의 방염가공 319
5.4 항미생물가공 322
5.4.1 항미생물가공 관련 미생물과 그 작용 323
5.4.2 미생물 제어 방법 325
5.4.3 항미생물 가공제 327
5.4.4 항미생물가공 제품의 항미생물 메카니즘과 가공 333
5.5 대전방지가공 346
5.5.1 섬유의 전기 전도성과 대전 방지 메카니즘 347
5.5.2 일시적 대전방지가공 349
5.5.3 내구성 대전방지가공 352
5.5.4 도전성 섬유 354
5.6 소취가공 359
5.6.1 악취 성분과 소취 메카니즘 360
5.6.2 소취제와 소취가공 방법 361
(1) 차나무과 식물 추출물 362
(2) L-아스코르빈 산과 2가의 철염 362
(3) 프탈로시아닌계 화합물 363
(4) 흡착제 364
5.7 마이너스이온가공 365
5.7.1 마이너스 이온 발생 방법과 그의 효과 366
5.7.2 마이너스이온가공 368
5.8 자외선차단가공 370
5.8.1 자외선과 그의 작용 370
5.8.2 자외선 차단 가공제와 가공 371
5.9 항응애가공 375
5.9.1 응애와 인체에 미치는 영향 375
5.9.2 항응애가공 376
5.10 항좀가공 378
5.10.1 항좀 가공제 380
5.10.2 항좀가공 384
5.11 셀룰로스섬유의 이온화가공 386
5.11.1 셀룰로스의 양이온화가공 386
5.11.2 셀룰로스의 음이온화가공 388
5.12 인조가죽가공 391
5.12.1 가공제 394
5.12.2 인조가죽가공 396
(1) 웹의 제조 방법 397
(2) 함침액의 조제와 매트의 가공 397
(3) 은면층의 가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