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림원출판사 홈페이지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Home
>
순수과학
>
생물
유전자재조합식품-새로운 먹거리
■
판매가격 :
10,000 원
■
구매문의 : MS북스 (TEL. 02-707-2343)
책소개
작가소개
목차
유전자재조합식품 (새로운 먹거리의 과학)
일본농예화학회 편| 박선희 역| 한림원| 2002.04.27 | 238p | ISBN : 8985670859
책 소개
유전자재조합식품이나 유전자재조합식물의 개발에 관여해온 일본의 연구자나 기술자, 보도관계자가 모여서 「자신이 알고 있는 유전자재조합식품의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전한다」는 것을 위주로 쓴 책.
역자
박선희(朴仙姬) : 서울대학교 농과대학 농가정학과 학사․석사과정 졸업. 동경대학 의학계연구과 박사과정 졸업. 1992년 일본예방위생연구소(현, 국립감염증연구소) 연구원. 1995년 한국식품위생연구원 책임연구원. 1997년부터 식품의약품안전청 보건연구관으로 현재에 이름.
市川裕章(이치가오 히로아키) : 「식물에의 유전자도입법」. 1957년생. 1979년 나고야대학농학부 농예화학과 졸업. 1982년 츠쿠바대학 대학원 농학연구과 박사전기과정 응용생물화학 전공 수료. 1984년 나고야대학 대학원 농학연구과 박사 후기 과정 생화학 제어 전공 수료. 같은 해 (주)식물공학연구소 근무. 1990년 농림수산성 농업환경기술 연구소 연구원. 1993년 동 성 농업생물자원연구소(현, 독립행정법인 농업생물자원연구소) 연구원. 현재에 이름. 그간 1996년부터 97년 미국 존 이네스 센터 객원연구원 1981년 농학박사(나고야 대학).
一色賢司(이시키 겐지) : 「식품으로서의 안전성 평가」. 1950년생. 1975년 큐우슈대학 대학원 농학연구과 수사과정수료 후, 키타큐우슈우 환경위생연구소 근무. 1990년 농림수산성 식품총합연구소(현, 독립행정법인 식품총합연구소) 입소. 1996년부터 수석연구관 현재 이름. 1998년부터 오차노미즈여자대학대학원 겸임교수. ������식품의 안전성 확보������(국제과학기술재단) 등.
宇垣正志(우가타 마사시) : 「식물에서 작용하는 유전자를 설계하다」. 1955년생. 1979년 동경대학 농학부 농업생물학과 졸업. 1984년 동대학 대학원 농학계 연구과 박사과정 수료. 동년 농림수산성 농업생물자원 연구소 연구원. 1988년 미국 라토거스 대학 왁스만 연구소 객원연구원. 1995년 농림수산성 농업생물자원연구소 연구실장. 1999년 동경대학대학원 신영역창성과학연구과 첨단생명연구계 조교수. 2000년 동대학대학원 농학생명과학연구과 조교수 겸임 현재에 이름.
大澤勝次(오오사와 카츠지) : 「작물개량의 역사는 유전자재조합기술의 탄생」, 「차례를 기다리는 21세기의 유전자재조합 식물 들」, 「에필로그」. 1943년생. 1967년 북해도 대학 농학부 농학과 졸업. 같은 해 농림수산성 원예시험장 연구원. 1979년 농림수산성 야채시험장 주임연구원, 1985년 동성 농업생물 자원연구소 연구실장. 1992년 이바라기현 농업종합센터 생물공학연구소장. 1995년 농림수산성 농업생물자원연구소 연구부장. 1998년 동 성 북해도 농업시험장 연구부장. 2000년 북해도대학 대학원 농학연구과 교수 현재 이름. 1985년 농학박사. ������실례 : 바이테크농업 - 화․야채․과일������(공저, 이에노히카리협회), ������도감 : 식물바이테크의 기초지식������(농산어촌문화협회), �����바이오테크놀로지의 농업철학������(공저, 농산어촌문화협회) 등.
河原畑勇(카와라바타 타케시) : 「해충에 강한 옥수수」. 1938년생. 1961년 큐우슈 우대학농학부 농학과 졸업. 1963년 동대학 대학원 농학연구과 석사과정 수료. 1965년 동대학 농학부 조수. 1969년 동 조교수. 1990년 동 농학부 부속 생물적 방제연구시설교수, 현재 큐우슈우대학 명예교수.
釘貫靖久(쿠기누키 야스히사) : 「웅성불임으로한 유채」. 1959년생. 1982년 북해도대학 농학부 농학과 졸업 후 농림수산성 식품유통국 거쳐 동 성 야채․차업시험장연구원. 현재 농림수산성농림수산기술회의 사무국 근무.
田中宥司(타나카 히로시) : 「유전자 DNA와 유전자재조합의 구조」 「보존성이 좋은 토마토」. 1952년생. 1980년 간사이 학원 대학 대학원 이학연구과 석사과정 수료. 동년 가고메(주)입사. 1998년 농림수산성 농업생물자원연구소(현, 독립행정법인 농업생물자원연구소) 입소 현재 이름. ������세계를 제패한 식물들������(공제 학회출판센터).
田部井 豊(타베이 유타카) : 「바이러스병에 강한 파파야」. 「개발중인 유전자재조합식품」 「안전성평가의 역사」. 1958년생. 1985년 우츠노미야대학 농학부 농학과 졸업. 같은 해 농림수산성 야채시험장 근무, 1992년 동 성 농업생물자원연구소, 1997년 동성 농림수산기술회의사무국 첨단산업기술연구과, 2000년 동성 농업생물자원연구소 세포공학연구실장, 현재 독립행정법인 농업생물자원연구소 식물세포공학연구팀장). ������야채의 조직․세포배양과 증식������(공제, 농업도서). ������꼭 알아둘 유전자재조합농작물������(공저 幸書房).
西澤洋子(니시자와 요우코) : 「식물과 병원균의 지혜 겨루기」. 1962년생. 1984년 동경농공대학 농학부 농예화학과 졸업. 1986년 나고야대학 대학원 농학연구과 생화학제어전공 석사과정 수료. 1987년 농림수산성 농업생물자원연구소 입소. 현재에 이름. 이 사이 1994년부터 1996년까지 미국 캘리포니아주 카네기 연구소 식물부문 유학. 1994년 농학박사(동경대학).
番 保德 (반 야스노리) : 「유전자DNA와 유전자재조합의 원리」 1957년생. 1981년 시즈오카대학 이학부 생물학과 졸업. 1986년 나고야대학대학원 농학계연구과 수료. 1994년 아오모리 그린바이오센터 주임연구원, 1997년 농림수산성농업생물자원연구소(현, 독립행정법인 농업생물자원연구소) 주임연구관. 현재에 이름. ������신판 시물의 PCR 실험 프로토콜������(秀潤社).
宮田 滿(미야다 미츠루) : 「해외에서의 유전자재조합식품의 이용자의 소리」 1954년생. 1979년 동경대학 대학원 이학계 연구과 식물학전공수사과정 수료. 같은 해 일본경제신문사입사. 닛케이메디칼 편집부를 경유하여 1981년 닛케 이바이오테크편집부. 1996년 인터넷정보 사이트 Biotechnology Japan 편집부장, 현재에 이름.
村岡眞一郞(무라오카 신이치로우) : 「해외에서의 유전자재조합작물의 이용자의 소리」. 1970년생. 1992년 동경대학농학부 농예화학과 졸업, 1994년 동 대학 대학원 수료. 같은 해 닛케이BP사 입사. 현재에 이름.
失野昌裕(야노 마사히로) : 「유용한 유전자를 발견하다」. 1956년생. 1979년 큐우슈우대학 농학부 농학과 졸업, 1985년 동대학 대학원 농학연구과 수료(농학박사). 1986년 농림수산성 농업연구센터 근무. 1987년 동성 키타리쿠 농업시험장, 1994년 동성 농업생물자원연구소(현, 독립행정법인 농업생물자원연구소) 연구원. 현재에 이름. 이 사이 1991년부터 과학기술청장기해외연구원으로 영국식물과학연구소 유학.
與語靖洋(요고 야스히로) : 「제초제의 영향을 받지 않는 콩」 1957년생. 1981년 츠쿠바대학 제2학군 생물학류 졸업. 1986년 동대학 대학원 박사과정 수료, 같은 해 일본 시바가이키(주)입사. 1994년 농림수산성 농업연구센터 연구원. 2001년 독립행정법인 농업기술연구기구 중앙농업총합연구센터연구원. 현재에 이름.
「생활 속의 화학과 생물」시리즈의 간행에 즈음하여
서 언
제1장 유전자재조합식품탄생의 과학
작물개량의 역사와 유전자재조합기술의 탄생
- 오오사와 카츠지(大澤勝次)
1. 머리말
2. 다른 생물과 인류의 분수령, 그것은 농경이었다
3. 작물의 개량은 긴 세월에 걸친 유전자DNA의 재조합 작업이다
4. 「유전법칙」의 발견에 의해 작물의 개량은 과학이 되었다
5. 지구상의 선배생물, 박테리아가 식물에 유전자재조합기술을 가르치다
6. 맺음
■ 칼럼 「유전자재조합은 자연의 섭리에 반하고 있는가」?
유전자DNA와 유전자재조합의 원리 - 타나카 히로시(田中宥司),
반 야스노리(番 保德)
1. 머리말
2. DNA와 유전자
- DNA는 세포핵에 존재한다
- 유전자의 본체는 DNA
- DNA의 이중나선 구조
- 염색체와 DNA, 그리고 유전자DNA
- DNA가 하는 일
- 유전자DNA로부터 단백질로
3. 유전자재조합의 원리
유전자 운반체 (벡터)
DNA를 자르는 「제한효소」와 DNA를 연결하는 「연결효소」
4. 맺음
■ 칼럼 「유전자재조합은 종(種)의 벽을 뛰어넘은 새로운 생물을 낳는 기술」
인가?
제2장 유전자재조합식품의 본모습
보존이 잘되는 토마토 - 타나카 히로시(田中宥司)
1. 머리말
2. 토마토열매의 성숙과정
3. 식물 유전자의 역할을 억제하는 기술 개발
- 안티센스(antisense)기술
- 상호억제(Co-suppression)에 의한 유전자발현의 억제
4. 보존성이 좋은 토마토의 이점
5. 유전자재조합토마토를 만드는 법
- 아그로박테리움과 바이너리벡터(binary vector)
- 유전자도입식물체의 제작
6. 안전성
7. 맺음
■ 칼럼 「유전자가 어디에 들어가는지 알 수 없기 때문에 위험」한가?
제초제의 영향을 받지 않는 콩 - 요고 야스히로(與語靖洋)
1. 머리말
2. 제초제는 어느 정도 독인가?
3. 제초제의 선택성이란?
4. 제초제내성작물의 역사
5. 왜 유전자재조합 콩은 제초제의 영향을 받지 않는 것일까?
6. 글리포세이트 이외의 제초제내성 작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