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림원출판사 홈페이지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Home
>
순수과학
>
생물
버섯과 함께한 40년 (조덕현)
■
판매가격 :
15,000 원
■
구매문의 : MS북스 (TEL. 02-707-2343)
책소개
작가소개
목차
책머리에
버섯과 함께한 40년
내가 버섯공부를 한 세월이 벌써 40년이나 되었다. 버섯을 통해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배우는 생활을 재미있고 즐겁게 하였다고 생각한다. 물론 고통스러운 때도 있었지만. 보통 생물학과를 나왔다고 하면 생물에 대해서 다 아는 것으로 생각하는 사람이 많지만 사실 그렇지 않다. 그래서 흔히 대학의 학부는 전인교육을 한다고 말하는 사람이 있게 된다. 생물학과에 다양한 분야의 여러 가지를 배우기 때문에 뭐 하나 제대로 알지 못하고 졸업하였다. 물론 공부를 하지 않은 탓이 제일 큰 문제지만 생물학과를 나오면 취직이 잘 안되기 때문이라고 말하는 것이 더 적절할 것 같다. 학문은 어떤 분야에 전문가가 된다는 것은 그야 말로 자신과의 싸움에서 이기는 자만이 되는 것이다. 대학의 모든 학과가 자기의 소질이나 취미보다는 실력에 맞게 선택하는 것이 현실이었다. 목적의식이 뚜렷하면 몰라도 거의 수박 겉 핥기식으로 공부하게 된다. 그런 대표적인 사람이 나인지도 모른다.
졸업을 앞두고 취직하려고 애를 썼지만 나에게는 기회가 오지 않았다. 대부분의 학생들이 소위 자기의 전공과는 무관하게 진로를 선택하게 된다. 나는 대학에서 교직을 선택하여 생물교사 자격증을 딴 것이 이 길로 접어드는 기회가 되었다. 또 하나는 대학에서 졸업 논문을 써야 했기 때문에 버섯을 주제로 쓰게 된 것이 누가 전공을 물으면 버섯이라 대답하게 되었다. 버섯이 어떤 생물인지도 모르면서 시작하게 된 것이다. 식물도 동물도 어느 것 하나 제대로 아는 것이 없었기 때문이다.
나에게 버섯을 공부하도록 이끌어 준 분은 이지열교수와 이영록 교수였다. 교편 생활을 할 때 대학원을 진학하도록 이지열교수가 권유하였다.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과 대학원에 진학하여 이영록교수의 지도로 석사, 박사학위를 받으면서 본격적인 버섯을 연구하게 되었다. 그로부터 벌써 40여년의 세월이 흘렀다.
여기에 실린 글들은 2007년부터 지금 까지 5년에 걸쳐 월간버섯에 연재하였든 버섯칼럼을 정리한 것이다. 언제나 느끼는 것은 버섯을 연구할 수록 모르는 것이 너무 많다는 것을 느끼고 있다. 그것이 내가 버섯의 세계에 더 빨려 드는지도 모른다.
저자 | 조덕현
목차
제1부버섯의 비밀1
버섯들의 비밀은 ?/1
버섯의 생로병사/4
버섯의 균륜/7
버섯 적은 양이라도 매일 먹는 것이 최고/10
건강시대/13
비만시대/16
생과 사의 갈림길/19
어려운 환경을 돌파한 능력과 지혜를 갖추자/22
죽음/25
버섯의 독/28
독버섯/31
아리송한 독버섯들/34
제2부버섯들의 생존37
버섯의 생존전략/37
버섯들의 무더위 극복/40
겨울 버섯들의 생존/43
달팽이와 버섯의 공존/46
불완전 버섯/49
먹물버섯의 선택/52
곰보버섯의 인고/54
독우산광대버섯의 변신/56
비단그물버섯의 아픔과 변신/59
치마버섯의 적응/62
곰팡이들의 반란/64
제3부버섯의 발견67
덧부치버섯속의 신종 발견 이야기/67
희귀버섯의 발견/71
붉은 사슴뿔버섯의 발견/74
새송이버섯/77
큰눈물버섯/80
두엄먹물버섯/83
귀신그물버섯을 보고 상상해본 신라/86
달걀버섯의 슬픔/89
버섯 생태의 보고 이끼/92
행복의 척도를 다시 생각게 하는 겨울 버섯의 꽃 팽나무버섯/95
변형균류의 한국 보통명 “먼지”/98
제4부버섯의 희망101
버섯축제/101
버섯캐릭터/104
버섯도감/107
버섯도감 작업은 뼈를 깍는 고통의 연속/110
버섯책/113
세계버섯축제에서 만난 사람들/116
축제 유감/119
마이스터대학/122
장흥으로의 즐거운 강의 여행/125
일거리 창출/128
과거로의 여행/131
새 봄을 기다리는 마음/134
제5부새 출발137
종합학술조사/137
숲 해설가/140
포럼/143
마니아/146
기초의 중요성/149
어떤 선물/152
30년 만에 다시 찾은 석굴암 앞에서/155
우면산/158
공수래공수거/161
하지정맥/164
과유불급/167
적반하장/170
자연사 박물관의 단상/173
정년의 의미/176
고별강연/179
2013. 2.
반포 자이아파트 서재에서 조 덕 현